imagesCAIOZMX1.jpg

오늘날 우리나라가 세계 1위의 조선(造船) 대국으로 성장한 데에 존 덩컨(John Duncan)이라는 스코틀랜드인이 결정적으로 기여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1975년 중동의 해운회사인 UASC(아랍해운)가 현대중공업에 다목적선 15척을 발주했을 때 이 회사의 기술 책임자였던 그가 선박 건조를 지도하기 위해 한국에 파견되었다. 당시 우리의 조선 산업은 도크도 없이 모래를 퍼내 놓고 그 속에서 배를 만들 정도의 초보적인 수준이었다고 한다. 덩컨은 5년 동안 선박 설계와 건조 과정에 필요한 기술을 온전히 전수해 주었다. 깐깐한 성격을 가진 그는 현장 직원들에게 큰 소리로 욕설을 해 가며 1㎜의 오차도 없이 정확하게 작업하도록 요구했다. 우리로서는 운 좋게도 훌륭한 선생을 모시고 잘 배운 셈이다. 그 역시 훌륭한 제자들에게 만족했음이 틀림없다. 1980년 한국을 떠날 때 그는 영국에서 100년 걸려 한 일을 이 나라는 3~4년에 해치웠다며 한국이 세계 최고의 조선 대국이 되리라는 덕담을 했고, 그 예언은 실제로 실현되었다.

비슷한 사례로 일본 경제 발전에 큰 공헌을 한 윌리엄 에드워드 드밍(William Edward Deming)을 들 수 있다. 그는 연합군 최고사령부 소속 보좌관의 신분으로 1952년 일본에 입국한 후, 오랜 기간 머물며 일본 기업가들에게 품질의 중요성을 깊이 각인시켰다. 드밍은 물리학과 수학, 통계학 분야의 지식뿐 아니라, 훌륭한 교육자의 자질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사업의 효율성을 위한 14개의 법칙', '발전을 가로막는 4대 장애물'과 같이 배우는 입장에서 이해하기 쉽게 쓴 사업 지침서들을 대량 발행했다. 제조업은 세부 사항에 대한 세밀한 관심을 통해서 개선 가능하며, 생산의 모든 단계에서 지속적인 개선을 하여 가격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는 것이 그가 강조한 핵심 메시지였다. 일본 특유의 팀 단위 체제(team system) 역시 드밍의 발명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체제에서 각 분야의 사원들은 서로 긴밀히 협력하는 가운데 그들 사이에 강한 소속감을 형성했다. 이런 요소들은 곧 일본 기업의 트레이드마크가 되었다. 일본의 지도자들은 드밍이야말로 일본의 전후 산업 부흥의 실질적 아버지라고 생각했고, 일본 정부는 훗날 드밍에게 즈이호쇼(瑞寶章) 훈장을 수여했다.

한국과 일본 모두 뜻하지 않게 이방인 출신 은인의 도움을 크게 받았다. 우리 정부가 감사의 마음으로 금탑산업훈장을 추서한 것을 알면 존 덩컨씨도 저승에서 기뻐할 것 같다.